본문 바로가기

IT 인프라/프로토콜, 이론8

[Infra] OSI 7 rayer, Broadcast, Multicast, Unicast ① PC A는 7계층부터 검토하며 1계층까지 내려오면서 PC B에게 패킷을 보냄. ② PC B는 A가 보낸 데이터를 받아 1계층부터 7계층까지 올라가면서 검토 ​ ■ Broadcast, Unicast, Multicast ■ 1:전부 ☞ 통신하고자 하는 PC의 맥 어드레스를 알기 위해 자신이 속해 있는 네트워크 대역의 모든 호스트에게 “이 주소 사용하는 사람 있으면 응답해” 하고 요청. 이 과정을 ARP라고 하는데, 맥 어드레스 뿐만 아니라 라우터끼리 정보를 교환한다거나 서버들이 자신이 어떤 서비스를 제공한다는 것을 알릴 때 등 모든 사용자에게 뿌려지는 것을 BroadCast라고 함. 1:1 방식 ☞ 네트워크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식. 목적지의 주소 하나.. 2024. 2. 29.
[Infra] 세팅 확인 후 네트워크 구성도 구상 세팅 확인 후 정보통신망 구성도 구상 전재혁 ・ 2023. 11. 16. 8:49 URL 복사 통계 본문 기타 기능 사용자 A, B, C 가 있다. ​ A 사용자의 PC 셋팅 : 10.10.10.100/255.255.255.0/10.10.10.1/168.126.63.1/168.26.63.2 B 사용자의 PC 셋팅 : 10.10.20.100/255.255.255.0/10.10.20.1/168.126.63.1/168.26.63.2 C 사용자의 PC 셋팅 : 10.10.30.100/255.255.255.0/10.10.30.1/168.126.63.1/168.26.63.2 ​ A사용자가 PC에서 B사용자에게로 traceroute를 하게 되면 1.1.1.2의 홉과 2.2.2.1 확인이 된다. 반대로 B사용자가 A사.. 2024. 2. 29.
TFTP 서버를 통한 효율적인 Switch config backup • TFTP 프로토콜의 개념 - TFTP (Trivial File Transfer Protocol) 는 간단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의미한다. - TFTP는 UDP (User Datagram Protocol) 를 기반으로 하며, 파일 전송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만 제공한다. • 용도 - 펌웨어 업데이트, 부팅 이미지 전송, 운영 체제 설치, 시스템 복구 • 단점 - 보안 취약 - 데이터 손실 발생 - 대용량 파일 전송 어려움 •클라이언트 -> request -> 서버 -> reply -> 클라이언트 구성 목표 1) 10번 L2 스위치에서 Running-config 구성 후 TFTP 서버를 통해 PC로 전송한다. 2) 20번 L2 스위치에서 PC간 TFTP 서버 연결 후 Running-config 구성 파일.. 2023. 11. 9.
Http, Https와 telnet, ssh의 차이점 -https, ssh를 사용하는 이유 Http는 hiper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어로 웹에 쓰이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.ssh는 secure shell의 약어로 보안요소가 추가된 원격 접속 프로토콜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면 위의 그림과 같이 (name=jjh&passwd=jjh) 클라이언트의 유저 name과 passwd가 서버상에서 평문으로 보인다.​Http(s)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면 암호문으로 보여짐.Client -> Encryption(암호화) -> Server -> Decryption(복호화) -> Encryption -> Client -> Decryption ​telnet 사용 시 그림과 같이 클라이언트의 입력 데이터가 평문으로 보인다. 2023. 10. 27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