IT 인프라/프로토콜, 이론8 [이론] URI과 URL의 차이점 URI (Uniform Resource Identifier)= 통합 자원 식별자URL(Uniform Resource Locator)= 통합 자원 위치= 흔히 "웹 사이트 주소"라고 불림예를 들면URI = running-network.tistory.comURL = https://running-network.tistory.com/ (프로토콜과 결합한 형태: https://URI)이라고 생각하면 된다.추가적인 개념으로URN(Uniform Resource Name) = entry/이론-URI과-URL의-차이점 이 있다. URN을 포함한 URL은 "https://running-network.tistory.com/entry/이론-URI과-URL의-차이점" 가 된다.# 현재 블로그 글의 URL 주소와 비교자.. 2024. 10. 2. [Infra] Native Vlan이란 ◆ Native VLAN이란 ? : IEEE 802.1Q 표준에서 사용되고 Trunk 포트에서 Tag가 없는 프레임을 전달하는 VLAN이 Native VLAN ▶ 용도 Trunk 포트는 여러 VLAN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포트로, 각 VLAN을 구분하기 위해 프레임에 Tag를 붙여 전달한다. 이 때 Tag가 되지 않은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Native VLAN이 필요함. 허브와 스위치의 통신 호환성 확보 - 허브는 프레임에 Tag를 붙이지 않고 전달 -> 스위치단에서 프레임 버려짐 (Native VLAN을 사용하면 Trunk 포트를 통해 VLAN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VLAN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다.) ▶명령어 interface trunk-port sw mode trunk sw nativ.. 2024. 2. 29. [Infra] Packet 알아보기 1 packet = 512 byte https://hackthepacket.tistory.com/entry/%ED%8C%A8%ED%82%B7%EB%B6%84%ED%95%B4-1-%ED%95%9C-%ED%8C%A8%ED%82%B7%EC%9D%98-%ED%81%AC%EA%B8%B0MTU%EB%8A%94-%EC%96%BC%EB%A7%88%EB%82%98-%EB%90%A0%EA%B9%8C 패킷분해 #1 한 패킷의 크기(MTU)는 얼마나 될까? 종종 네트워크 포렌식에서 네트워크 정보를 카빙할 때, 패킷의 크기를 알아야 하는 경우가 있다. 프로토콜에서 데이터 단위를 PDU (Protocol data unit) 라고 하고 각 계층마다 단위는 다르게 불린다. The Layer 1 (Physical Layer) PD.. 2024. 2. 29. [Infra] TCP/IP, Gateway 개념 •Client -> Request -> Server -> Reply -> Client (3way Handshaking) 3번 악수를 한다는 개념 PID와 PPID의 개념 Process ID와 Parent Process ID라고 불리며 tasklist or wmic 명령어로 확인 가능 ■Gateway 1) 개념 -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통신을 중계해주는 시스템 ex)인터넷과 사내 네트워크 간의 통신이 필요한 경우, 인터넷과 사내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Gateway 필요 2) 특징 *HELLO 프로토콜: 지연 시간이 최소인 경로를 판별하여 다른 네트워크에 대한 최단 경로를 계산 *라우팅 정보 프로토콜(RIP): HELLO 프로토콜과 같이 최단 경로를 파악하지만 지연 시간이 아닌 통과 브릿지 수.. 2024. 2. 29. 이전 1 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