리눅스4 [리눅스] 디렉토리 구조 및 각 디렉토리의 역할 * Linux의 디렉토리 구조1. 최상위 계층인 루트 디렉토리( / )*** rm 명령어를 통해 디렉토리를 지울 때 rm -rf / 는 사용하지 않도록 주의 (하위 디렉토리가 모두 날아감)***2. /bin 디렉토리- /bin 디렉토리는 ls, cp, mv 등 기본적으로 OS에 내장된 명령어들의 실행 파일을 가지고 있는 디렉토리- /bin 디렉토리는 ls, cp, mv 등 기본적으로 OS에 내장된 명령어들의 실행 파일을 가지고 있는 디렉토리 3. /sbin 디렉토리 - 관리자용 명령어가 저장되는 디렉토리로 접근시 root권한이 필요4. /dev 디렉토리 - /dev 디렉토리는 하드웨어 장치와 관련된 파일이 저장됨. 마치 장치들이 하나의 파일처럼 보이게 만들어 프로그램에서 파일을 다루듯 장치를 조작할 수 .. 2024. 10. 11. Linux 관리자 모드 진입, OS 계보, ssh 포트 변경 Sudo su = 관리자 모드 진입 (root 모드) Config 파일을 수정할 때에는 #(주석처리)를 지워줘야 적용이 된다. 자주 사용되고 있는 OS 배포판으로는 Debian, Ubuntu, CentOS가 있다. SSH 포트 변경 vi라는 설정파일 편집 명령어를 통해 /etc/ssh/sshd_config.d/*.conf 파일 편집으로 이동 명령어를 쓰면 다음과 같음 = vi /etc/ssh/sshd_config.d/*.conf 이후 I (insert) 키를 눌러 수정가능한 모드로 변경 후 Port 라인 앞의 #(주석)을 제거해주고 20022 를 원하는 포트 번호로 변경해준다. ESC 키를 눌러 수정모드를 종료해주고 :wq!로 저장 후 파일 나가기 wq는 write quit의.. 2024. 3. 4. Linux 관리자 모드 진입, OS 계보, ssh 포트 변경 Sudo su = 관리자 모드 진입 (root 모드) Config 파일을 수정할 때에는 #(주석처리)를 지워줘야 적용이 된다. 자주 사용되고 있는 OS 배포판으로는 Debian, Ubuntu, CentOS가 있다. SSH 포트 변경 vi라는 설정파일 편집 명령어를 통해 /etc/ssh/sshd_config.d/*.conf 파일 편집으로 이동 명령어를 쓰면 다음과 같음 = vi /etc/ssh/sshd_config.d/*.conf 이후 I (insert) 키를 눌러 수정가능한 모드로 변경 후 Port 라인 앞의 #(주석)을 제거해주고 20022 를 원하는 포트 번호로 변경해준다. ESC 키를 눌러 수정모드를 종료해주고 :wq!로 저장 후 파일 나가기 wq는 write quit의.. 2023. 10. 27. Http, Https와 telnet, ssh의 차이점 -https, ssh를 사용하는 이유 Http는 hipertext transfer protocal의 약어로 웹에 쓰이는 프로토콜 중 하나이다.ssh는 secure shell의 약어로 보안요소가 추가된 원격 접속 프로토콜Http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면 위의 그림과 같이 (name=jjh&passwd=jjh) 클라이언트의 유저 name과 passwd가 서버상에서 평문으로 보인다.Http(s) 프로토콜을 사용하게 되면 암호문으로 보여짐.Client -> Encryption(암호화) -> Server -> Decryption(복호화) -> Encryption -> Client -> Decryption telnet 사용 시 그림과 같이 클라이언트의 입력 데이터가 평문으로 보인다. 2023. 10. 27. 이전 1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