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엔지니어4

Native VLAN ◆ Native VLAN이란 ? : IEEE 802.1Q 표준에서 사용되고 Trunk 포트에서 Tag가 없는 프레임을 전달하는 VLAN이 Native VLAN​​▶ 용도Trunk 포트는 여러 VLAN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포트로, 각 VLAN을 구분하기 위해 프레임에 Tag를 붙여 전달한다. 이 때 Tag가 되지 않은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Native VLAN이 필요함.허브와 스위치의 통신 호환성 확보 - 허브는 프레임에 Tag를 붙이지 않고 전달 -> 스위치단에서 프레임 버려짐 (Native VLAN을 사용하면 Trunk 포트를 통해 VLAN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VLAN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다.)​▶명령어​interface trunk-portsw mode trunksw native vlan vlan.. 2024. 10. 2.
WLC와 AP 간 join -2 # 구성도LAB 구성도는 위와 같음.​1)장비 부팅 시 recovery 모드 자동 접속2)IP 10.0.0.1 255.255.255.224로 자동 할당3)PC와 AP Direct로 연결 후 PC에 tftp 서버 구동4)Tftp 디렉토리 경로에 c1140-k9w7-tar.default 파일 준비5)AP가 c1140-k9w7-tar.default 파일 자동으로 다운로드 함.6)해당 파일 내용으로 부팅 됨​​ 2024. 10. 2.
WLC와 AP 간 Join -1 •AP(Access Point)이란?- 쉽게 말해서 무선 L2스위치라고 생각하면 됨.AP 작동 유형1) Autonomous형 (IOS형, 단독형) -> AP 각각 동작2) 컨트롤러형 (LWAPP형, CAPWAP형)- 최근에는 AP 사용 대수가 많아 지면서 일일히 콘솔 작업을 하기엔 어려움이 있어 대부분 컨트롤러형 사용​[구성도]•작업 내용1) 컨트롤러형 AP와 WLC 간 join​2) 컨트롤러형 AP에서 3750 Switch dhcp option을 정상적으로 받아가는지 확인​1. 3750 스위치에 DHCP 구성• ip dhcp pool JJH (dhcp pool 생성)• network 10.99.10.0 255.255.255.0 (dhcp 할당 네트워크)• default-router 10.99.10.1 .. 2024. 10. 2.
STP(Spanning Tree Protocol)-2 https://running-network.tistory.com/entry/Infra-Looping-STPSpanning-Tree-Protocol-Load-Balancing [Infra] Looping, STP(Spanning Tree Protocol), Load Balancing후니의 네트워킹 책을 참고하여 만든 문서입니다. Looping​•루핑은 프레임은 네트워크상에서 무한정으로 뱅뱅 도는 것.​이해를 위해 간단하게 알아보는 이더넷​- 이더넷 CSMA/CD(Carrier Sense Multrunning-network.tistory.com STP 기본 개념에 대한 내용은 위의 링크를 참고•Path Cost란 ?Path=길, Cost= 비용 “길(링크)을 가는 데 드는 비용”즉 한 스위치에서 다른 스위치.. 2024. 10. 2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