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IT 인프라/무선 네트워크

WLC와 AP 간 Join -1

by 전재혁 2024. 10. 2.

AP(Access Point)이란?

- 쉽게 말해서 무선 L2스위치라고 생각하면 됨.

AP 작동 유형

1) Autonomous형 (IOS형, 단독형) -> AP 각각 동작

2) 컨트롤러형 (LWAPP형, CAPWAP형)

- 최근에는 AP 사용 대수가 많아 지면서 일일히 콘솔 작업을 하기엔 어려움이 있어 대부분 컨트롤러형 사용

[구성도]

작업 내용

1) 컨트롤러형 AP와 WLC 간 join

2) 컨트롤러형 AP에서 3750 Switch dhcp option을 정상적으로 받아가는지 확인

1. 3750 스위치에 DHCP 구성

ip dhcp pool JJH (dhcp pool 생성)

network 10.99.10.0 255.255.255.0 (dhcp 할당 네트워크)

default-router 10.99.10.1 (할당 게이트웨이)

dns-server 8.8.8.8 (할당 dns서버)

option 60 ascii Cisco AP c1130 (할당 장비정보:VCI string)

option 43 hex f104.c0a8.0a3b(WLC ip) (hex string)

(hex는 16진수를 의미함)

# DHCP 옵션기능으로 ip, netmask, g/w, tftp서버 등 다양한 정보를 자동할당 시켜줄 수 있음.

2. AP dhcp서버 동작확인

Option 43(WLC 정보)

Option 60{VCI(Vendor Class Identifier)정보}

3. 이미지 작업

대상: AP

1)AP -> TFTP서버 ping

2)AP -> copy [source] [destination]

3)컨트롤형 이미지로 자동 재부팅

LWAPP TO IOS 변환(컨트롤러형->단독형)

*AP 이미지

1) k9w7 – autonomous (or “site survey”) IOS (단독형)

2) k9w8 - full lightweight IOS

3) Rcvk9w8 – lightweight recovery image (capwap형)

1. AP에 현재 있는 lightweight IOS 이미지 삭제

– delete /recursive /force flash:c1240-k9w8-mx. 124-25e.JAP4

LWAPP TO 단독형 변환

2. AP 이미지 변환

- power off 후 mode 버튼을 누른 상태에서 전원 공급. 빨간색 LED가 들어오면 mode버튼 떼기. 그럼 AP가 recovery 모드로 들어가고 ip가 10.0.0.1 255.255.255.224(default)로 할당됨.

-Direct로 연결할 PC에 tftp 서버를 구동시켜놓고 파일에 c1130-k9w7-tar.default 파일이 있으니 자동으로 다운로드하고 단독형 모드로 변경해서 부팅 됨.

-수동으로 ios이미지 넣어줄 때는 서로간에 ping도 안되고 arp정보도 안 올라옴. Tar 시작하면 바로 통신됨.

단독형 TO LWAPP 변환

이미지 변환

- AP#archive(tar명령) download-sw /force-reload(자동재부팅) /overwrite(기존cfg삭제 후 새로운cfg저장) tftp://[tftp서버ip]/c1140-rcvk9w8-tar. 124.23c.JA.tar

-force-reload와 overwrite 필수

c1140-k9w7-tar.153-3.JD17

-tar.[153-3] 숫자에 따라 Lwapp 버전이 달라짐을 확인.

> 기존 c1140-rcvk9w8-tar.152-2.jb 에서 > c1140-rcvk9w8-tar.153-3.JD 으로 변경 후 컨트롤러 조인 됨.

(LWAPP 버전이 같아야 컨트롤러 조인 되는 것을 확인)

'IT 인프라 > 무선 네트워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WLC와 AP 간 join -2  (1) 2024.10.02
[LAB]c9800-CL컨트롤러와 Radius Server 연동  (0) 2024.07.15