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자 A, B, C 가 있다.
A 사용자의 PC 셋팅 : 10.10.10.100/255.255.255.0/10.10.10.1/168.126.63.1/168.26.63.2
B 사용자의 PC 셋팅 : 10.10.20.100/255.255.255.0/10.10.20.1/168.126.63.1/168.26.63.2
C 사용자의 PC 셋팅 : 10.10.30.100/255.255.255.0/10.10.30.1/168.126.63.1/168.26.63.2
A사용자가 PC에서 B사용자에게로 traceroute를 하게 되면 1.1.1.2의 홉과 2.2.2.1 확인이 된다.
반대로 B사용자가 A사용자에게 traceroute를 하게 되면 2.2.2.2의 홉과 1.1.1.1 확인된다.
A사용자와 B사용자가 C사용자에게 traceroute를 하게 되면 각 A사용자는 1.1.1.2의 홉 B사용자는 2.2.2.2의 홉이 확인된다.
위와 같은 설명의 구성도를 그려보세요.

'IT 인프라 > 프로토콜, 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Infra] Packet 알아보기 (0) | 2024.02.29 |
---|---|
[Infra] TCP/IP, Gateway 개념 (0) | 2024.02.29 |
[Infra] OSI 7 rayer, Broadcast, Multicast, Unicast (0) | 2024.02.29 |
TFTP 서버를 통한 효율적인 Switch config backup (3) | 2023.11.09 |
Http, Https와 telnet, ssh의 차이점 -https, ssh를 사용하는 이유 (0) | 2023.10.27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