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IT 인프라/네트워크, 보안 솔루션18

[Dasan] Switch POE 활성/비활성화 Poe 활성화/비활성화​​​위의 그림을 보면 giga포트 18~31까지 enable 되어있음.​-[DASAN]interface range GigabitEthernet 1/0/18 to GigabitEthernet 1/0/31(18~31 포트 범위로 잡기)-[DASAN-if-range]undo poe enable(해당 포트 poe 기능을 undo함)​interface GE1/0/18~1/0/31 포트 status disabled로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다. 2024. 2. 29.
[Cisco] Cisco Router NAT (Snat, Pool, Acl, Extended) •NAT 개념 ​ ​ -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는 네트워크 주소 변환 기술입니다. ​ - NAT를 사용하는 이유는 대부분 사설 네트워크에 속한 여러 호스트가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사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함입니다. ​ NAT 장점 ​ 1) 한정되어 있는(약 42억?개) 인터넷의 공인 IP 주소를 절약할 수 있다. ​ 2) 인터넷(외부망)과 연결되는 사용자들의 사설망을 침입자들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. (보안 강화) ​ •외부망과 사설망 사이에 방화벽(Firewall)을 설치하여 외부 공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. ​ - 사설 ip가 공인 ip로 변환되어 외부로 나가기 때문에 외부에서는 사설에서 나가는 공인 ip만 보여진다. ​ •Ip nat inside sourc.. 2024. 2. 29.
[Cisco] Switch Config 구현 항목 ​ 1.스위치 IP 셋팅 IP 대역 C클라스 임의의 대역으로 설정하고 스위치 IP는 10번으로 설정한다. ​ 2.Username password 설정 ex) root/root1234 ​ 3.Enable password 설정 ex) root1234! ​ (2, 3 문항의 암호는 평문이 아닌 암호문으로 보여지게 함) ​ 4.장비 ssh 설정 (ssh 접근은 가능하되 telnet 접근은 불가능하도록 설정) ​ 5.장비 시간 변경 ​ -대한민국 시간으로 변경 ​ 6.장비 로그 현재 장비 시간과 동일하게 나타나도록 설정 ​ 7.장비 접속 시 배너설정 (배너는 아래와 같이 설정) ​ #####################테스트#################### ​ 8.장비 G/W는 1번으로 설정하고 L.. 2024. 2. 29.
Cisco Routing 기본, Switch L3 port 변환 2024. 2. 29.